xn--hq1b99vgkaq3s.org
2017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 한국도자재단
http://xn--hq1b99vgkaq3s.org/01biennale/03_09_2.asp
2017-17한영상호교류의 해 기념 프로젝트. 현대도자의 산실: KOCEF 소장품전. 현대도자의 산실: KOCEF 소장품전. HOME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2017비엔날레 학술행사 및 워크숍 워크숍.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도자워크숍은 한국도자문화 중심지이자 유네스코 창의도시인 경기도 이천에서 열리는 도자문화교류프로그램입니다. 2017년, 국제도자워크숍은 메이킹 네러티브 Making Narrative. 라는 주제로 세계 각국의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도자예술을 탐구하고,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각자의 서사를 만들고 완성하는 도자문화교류현장입니다. 본 프로그램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도자를 통해 공유하여 도자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미래 도자예술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GICB2017 국제도자워크숍은 멘토링 캠프, 투게더 캠프, 그리고 리서치 캠프로 구성됩니다. 2017년 4월 22일(토) 5. 22(월). 멘토링캠프, 투게더캠프, 리서치캠프 등. 내용 : 작가와 시민이 함께 만들고 완성하는 공공예술행사.
xn--hq1b99vgkaq3s.org
2017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 한국도자재단
http://xn--hq1b99vgkaq3s.org/01biennale/03.asp
2017-17한영상호교류의 해 기념 프로젝트. 현대도자의 산실: KOCEF 소장품전. 현대도자의 산실: KOCEF 소장품전. HOME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2017비엔날레 행사개요. 서사 기억, 기록, 기념. 2017 4. 22 5. 28(37일간). 이천세라피아, 여주도자세상, 광주 곤지암도자공원. 전시, 학술행사, 부대행사, 지역축제 등. 경기도 / 한국도자재단, GICB 2017 국제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자치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주한영국문화원, 한국관광공사,.
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
회원가입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08_member/join_new.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한국도자재단에서는 본인확인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휴대폰 인증 및 아이핀 인증.
xn--989a66e56c33f79isred3jprd.com
창조공방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com/02museum/04_10.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HOME 미술 박물관 이천세계도자센터(세라믹스창조센터) 창조공방. 세라믹스 창조공방은 도자분야 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분야가 공존하는 창조도자문화 콘텐츠. 로서 재능있는 신진작가를 발굴 육성하고, '공예문화 콘텐츠의 중심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라믹스 창조공방에는 도예작가 뿐 아니라 유리공예와 같은 타 장르에서 작품 활동중인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운영기간 : 상시운영 (2011년 7월 오픈). 위 치 : 이천세계도자센터 1층 창조공방 (약 660 -200평). 시 설 : 도자, 유리, MIX공방 등. 운영방식 : 입주 작가 선정을 통한 직영. 입주작가 : 도자분야 4명, 유리분야 2명. 문의 : 도예지원팀 Tel. 031-645-0642. 오픈 스튜디오 및 기획전시. 재단 레지던시 아트웍 프로젝트 수행. 해외작가와 협업 프로젝트 등.
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
경기도자박물관 소개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02museum/g02_01.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HOME 미술 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광주) 소개. 은 조선시대 500년간 왕실용 도자기를 생산했던 관요의 고장 경기도 광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광주 관요는 물론 경기도에 소재하는 초기 청자 및 백자에서부터 근 현대 도자에 이르기까지 유무형 자료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박물관은 나아가 한국 도자기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기도내 도자관련 유적, 유물뿐만 아니라 한국도자기의 태동에서 현대까지 장인들의 예술성과 우수한 공예기술로 제작된 중요유물 및 작품들을 전시. 하고, 지역문화 유산의 보고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자박물관 면적 : 3,327. 곤지암 도자공원 부지 면적 : 134,230.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27.
xn--989a66e56c33f79isred3jprd.net
지난전시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net/02museum/2014_03.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HOME 미술 박물관 여주세계생활도자관(반달미술관) 지난전시. 한국생활도자100인展 : 한국의 찻그릇 part. 2014년 4월 21일 5월 18일. 여주도자세상 반달미술관 1층 제1전시실. 도자발전기원展은 여주도자기사업협동조합 소속되어 있는 정지현(백제도예)이사장을 비롯한 김영록(흙누리), 김정(성월도예), 이제율(엘림도예), 최병덕(석담도예)작가 등이 참여하여, 전통 장작가마 소성을 통해 제작된 오브제와 도판, 생활자기 등 다양한 도자 작품을 선보입니다. 2014 여주 반달미술관 대관전 일정. 2014 여주 반달미술관 대관전 일정. 조명, 도판, 생활오브제 등 다양한 용도의 쓰임새 있는 생활자기 전시. 6일 동안의 장작가마 소성 워크샵을 통해 완성된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 부부도예가전 / 다양한 생활자기 및 오브제 전시.
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
관람안내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org/02museum/05_02.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HOME 미술 박물관 여주세계생활도자관(반달미술관) 관람안내. 운영일 : 연중 상시운영.(단, 매년 1월1일 휴관). 관람시간 : 하절기 10:00 19:00 / 동절기 9:30 18:00. 단, 매년 1월1일, 매주 월요일 휴관(국경일과 겹치는 경우에는 그 다음날). 입장료 : 무료 ( 단, 비엔날레 기간에는 비엔날레 입장요금을 받습니다.). 관람객들이 전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매주 주말 및 공휴일. 전문도슨트들이 직접 전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 재밌고 깊이 있는 해설과 함께 하면 관람의 재미와 깊이는 배가 될 것입니다. 흙으로 표현된 다양한 작품세계를 다채롭게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일 시 : 매주 주말 및 공휴일. 시 간 : 1차 11:00, 2차 15:00. 장 소 : 여주세계생활도자관 로비.
xn--989a66e56c33f79isred3jprd.net
지난전시 | 한국도자재단
http://xn--989a66e56c33f79isred3jprd.net/02museum/g02_03.asp
청년작가 창작 창업 지원. 도예 정보 연구 지원. 온 오프라인 도자전문자료 지원. 공동전시 및 전통계승 지원. 공동전시 및 학술교류 공모지원. HOME 미술 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광주) 지난전시. 경기 정도 600년 기념 특별기획전. 는 넓게 동아시아권에 속하면서 이웃나라와 우호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전통을 중요하게 보고 외국 선진문화를 받아들이고 조화시켜 새로운 전통을 창조하는 '계승과 조화'의 자세를 끊임없이 유지하였습니다. 중국 청자 기술을 조화시켜 천하제일의 고려 비색(翡色)청자를 완성한 일이나, 세계의 유행이 백자로 바뀌자 선비 정신의 구현인 절제의 미의식(美意識)을 새로운 조선 백자에 담아냈던 것은, 바로 그러한 전통 계승의 정신과 개방 그리고 조화의 국제감각을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항상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하며 세계 굴지의 도자문화 국가로 부동의 위치를 가져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