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sitemap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번지 서울대학교 302동 909호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전화 : 학부 02-880-7400 / 대학원 02-880-7068 팩스 : 02-888-7295. 현재 페이지에 대한 의견이나 수정요청을 관리자에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빈 칸에 내용을 간단히 작성해주세요.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23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3번 출구로 나와 관악구청 방향으로 직진하면 학교 셔틀버스 및 학내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 승차장이 있습니다. 학교 셔틀버스는 행정관(대학본부)행과 제2공학관행 두 종류가 있으며, 승차장도 별도로 있습니다. 이들 버스는 목적지까지 직행하며, 운행 및 배차시간은 학기 중과 방학 때가 다릅니다. 학내까지 운행하는 5511번은 경영대학(언어교육원) 방향 으로, 5513번은 정문에서 행정관 방향으로 순환합니다. 4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다 주유소에서 좌회전하여 제과점 앞 정류장에서 02번 마을버스를 이용합니다. 3번 출구로 나와 5516번 버스를 이용합니다.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번지 서울대학교 302동 909호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전화 : 학부 02-880-7400 / 대학원 02-880-7068 팩스 : 02-888-7295.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15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화학생물공학부 제 11대 학생회장 김덕형입니다. 새로이 구축된 홈페이지에서 이렇게 인사 말씀을 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화학 및 생물공학은 국가 산업의 기초이자 동력원입니다. 또한, 21세기 계속해서 새로워지는 산업을 다양한 신기술 개발로써 발전시키는 학문입니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는 다양한 산업의 곳곳에서 힘쓰시는 선배님들께서 수학하신 배움의 공간입니다. 그리고 항상 학부발전을 위해 헌신해주시는 교수님, 교직원님과 학생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 홈페이지는 우리학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소통의 공간입니다. 우리학부의 모든 구성원들의 다양한 참여가 요구됩니다. 홈페이지 제작에 힘써 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우리학부의 무한한 도약과 발전을 기원 합니다.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21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hemistry and Pharmac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Materials Science. 200602.01-2011.01.31. Institute of Multidisciplianary Research for Advanced Materials. 200602.03-2011.02.02. The University of Tokyo. Center for Excellence for Human-Friendly Materials. 200602.10-2011.02.09. Center for Biofilm Engineering.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29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은 교육부가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 육성과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석 박사과정생 및 신진연구인력(박사후 연구원 및 계약교수 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등 교육 인력양성 사업(창의적인 학문후속세대 양성 사업)이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는 지난 7년간 화공분야 1단계 BK21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SCI 논문 중심의 연구 성과가 양적인 측면에서는 벤치마킹 대학(Minnesota, MIT)의 수준을 상회하는. 연구성과의 질적 수준 제고를 통하여 화공분야 세계 10위권 학부로 도약. 국제 경쟁력을 갖춘 화공 분야 고급연구인력의 양성 및 배출(매년 석사 학위자 70명 이상, 박사 학위자 30명 이상). 산학공동 연구과제의 적극적인 발굴 및 수행을 통하여 현장감 있는 연구경험 기회 확대. Hwang, Mee Jin).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25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는 복잡하고 다양한 단위 장치와 공정으로 이루어진 대형 공장으로, 그 특유의 반응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움직임을 나타내며 여러 공정 분야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다룬다. 이러한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보다 나은 공정을 개발하는 등 기업의 효율성 및 이윤 제고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대부분의 작업이 공정개발팀의 연구분야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학 플랜트와 관련된 여러 분야의 변화 및 발달은 필연적으로 공정 관련 연구 분야를 확대시킨다. 우리가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제품은 화학 플랜트를 통해 생산된다. 앞으로 만들어질 첨단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제품들 역시도 화학 플랜트를 통하지 않고서는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인류가 존재하는 한. 은 계속 과제로 남을 수 밖에 없다. 에너지 및 환경 촉매 연구실.
cbe.snu.ac.kr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http://cbe.snu.ac.kr/ko/node/31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급변하는 의공학분야 및 생물공학분야의 체계적인 교육 및 연구수행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공과대학 내 2개의 대학원 협동과정인 생물화학공학 전공과 의용생체공학 전공을 발전적으로 통합, 2007년 3월부터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 전공(Interdisciplinary Program of Bioengineering)이 새롭게 출범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자연과학 및 공학적 방법을 통한 인체 내 문제점의 정의, 분석, 해결과 생물반응기 설계 및 생물공정개발, 미생물-동물-식물 세포 배양에 의한 유용물질의 생산, 생물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관련 물질 및 환경오염 대체물질의 개발, 생물학적인 환경보전기술, 바이오센서 및 생명재료 공학기술, 생촉매 개발 및 응용, 생물질 분리-정제기술 등이 있다. 생체현상에 대한 공학적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