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incheon.kr
구민행복종합민원실운영 | 인천광역시 남구 > 민원안내 > 민원종합안내 > 편리한민원제도
http://namgu.incheon.kr/home/minwon/minwon_gumin.asp
주민에게 모든 것을 공개하고 주민이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HOME 민원안내 민원종합안내 편리한민원제도 구민행복종합민원실운영. 외국인(다문화가정)을 위한 민원서류 해석본 비치. 종합민원실 내 오픈 민원인 열람용 책꽂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직장인 맞벌이 부부 등을 위한 일과시간 외 민원실 운영. 매주 화요일 18:00 21:00. 통합민원 : 주민등록등초본 등 10종 민원서류 발급. 여 권 : 신청 및 배부. 가족관계 : 출생, 사망 신고.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우선 창구 운영. 통합민원 2번 3번 창구. 번호표를 뽑지 않고 우선창구 직접 방문. 들어주는 전문가 상담 코너 운영. 요일별 해당분야 전문가 상담. 월요일 변호사, 화요일 세무사, 수요일 법무사. 급한 소나기를 피해가는 우산대여 사업 운영. 구청 종합민원실 도와드립니다 창구. 대여 신청 남구 로고가 새겨진 우산대여 추후 반납. 쉬어가는 건강 체크 코너 운영. 민원인의 자율 운영으로 간단한 자기 건강 체크.
namgu.incheon.kr
대형폐기물 인터넷 배출 신고 | 인천광역시 남구 > 분야별정보 > 생활 > 청소/재활용 > 쓰레기배출방법 > 대형폐기물
http://namgu.incheon.kr/home/living/waste_big_apply.asp
주민에게 모든 것을 공개하고 주민이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HOME 분야별정보 생활 청소/재활용 쓰레기배출방법 대형폐기물 인터넷 배출 신고. 우)22169 인천광역시 남구 독정이로 95.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
namgu.incheon.kr
인천광역시 남구
http://namgu.incheon.kr/home
남구평생학습관, 학습편의점,. 2016 10월 인천평생학습관 프로그램 및 공연 전시 2016-08-30. 민원24, 국민신문고 등 웹서비스 중단안내 2016-08-30.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 2016년 추석맞이 민속문화 한마당 홍보 2016-08-29. 찾아가는 청년 취업 창업박람회 개최에 따른 홍보 2016-08-29. 불법 주 정차단속(교통과징) 기간제근로자 채용에 따른 최종합격자 . 2016-08-30. 세대주 신고에 의한 무단전출자(동거인) 거주불명등록 공고 2016-08-30. 인천광역시 남구 생활임금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및 의견수. 2016-08-30. 주안동 염전로 366 부근 하수도 정비공사 2015-03-12. 주안8동 인주대로 496번길 15(1568-6번지) 주변 장비투입. 2015-03-12. 남구 매소홀로541번길 25-16(문학동) 주변 하수도정비공사 2015-03-12. 용현시장 459-72번지 주변 외 2개소 하수시설물 정비공사 2015-03-12.
namgu.incheon.kr
긴급지원 | 인천광역시 남구 > 분야별정보 > 복지 > 생활복지 > 복지정책
http://namgu.incheon.kr/home/welfare/welfarepolicy_urgent.asp
주민에게 모든 것을 공개하고 주민이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HOME 분야별정보 복지 생활복지 복지정책 긴급지원. 주소득자가 사망,가출,이혼,구금시설 수용 등의 사유로 소득 상실하여 생계 곤란한 경우.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만성질환 제외). 가족으로부터 방임 유기 학대되거나 학대등을 당한 때. 가정폭력 또는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 장애인괴롭힘, 노숙을 하는 경우. 주소득자의 휴업, 폐업 및 실직으로 가구의 생계유지 등이 곤란한 경우. 교정시설에서 출소한 자가 생계가 곤란하고 거소가 없는 경우. 화재 등 주택 건물에서 생활이 곤란하게 된 경우(경매 공매로 주거지에서 강제로 나가게 되는 경우). 재해 재난 피해로 인해 생활이 어려운 경우. 그 밖에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유가 발생한 때. 지원대상에 대한 소득, 재산을 파악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긴급 지원이 적정한지 여부를 조사. 소득 : 최저생계비의 185% 이하. 재산가액 13,500만원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