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oi.blogspot.com
Thoughts: May 2009
http://musoi.blogspot.com/2009_05_01_archive.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Monday, May 25, 2009. The former Korean President Rho has died of suicide. Regardless of one's political stance toward him, he or she must present condolences. So do I. What I am seeing out of antagonism that his suicide has created is inconsistency of mass or religious commitment to a person of mass. What I'm saying is that people blame prosecutors of his death. I think the blame makes no sense. Ps Can you not be crying, folk?
musoi.blogspot.com
Thoughts: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http://musoi.blogspot.com/2010/03/skepticalleftcom_28.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tb.php/01 main square/22316;. 제목: 판단의 준거와 이데올로기적 편향. 코지토님과 대화를 나누던 것을 정리하기 위해 씁니다. 쥐를 잘 잡는지 판단하기 위해 어떤 기준을 선택할 것이냐 하는 질문에 관련된 글입니다. 어떤 정책이 더 나은 정책인지에 판단하기 위해 어떤 기준을 택해야 할까요? 우리가 택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라는 것이 있을까요? 정책의 선호 판단은 명백하게 이데올로기에 따라 다릅니다. 판단의 준거가 이데올로기에 종속적인 거지요. A1) 누구도 손해보지 않는다. A2) 가장 적게 증대되는 사람의 소득의 증분은 가장 많이 증대되는 사람의 증분의 1/3 이상이다. 경제학자로서 저는 이데올로기 중립적인...
musoi.blogspot.com
Thoughts: April 2010
http://musoi.blogspot.com/2010_04_01_archive.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aturday, April 3, 2010. 1st assignment (summary of the web link). Http:/ owl.english.purdue.edu/owl/resource/587/01/. 글을 쓰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마감을 확인하고 글쓰기를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계획을 세울 때 습작(pre-writing, 習作)을 해 보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그리고 글쓰기에 쓸 시간에 대해 계획을 세워라. 글쓰기요소(rhetorical elements)를 이용해 쓰고자 하는 글에 대해 생각해 보라. 글쓰기에 관련된 환경요인들(rhetorical situation) - 화제(=이야기거리, topic), 청중, 장르, 문체(style), 기회(opportunity,? 저자, 목적 등등 - 에 대해 생각하면서 글을 어떻게 시작할 것인지 구상할 수도 있다.
musoi.blogspot.com
Thoughts: skepticalleft.com에 쓴 글 (보관)
http://musoi.blogspot.com/2010/03/skepticalleftcom_2300.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쓴 글 (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tb.php/01 main square/22304. 제목: To my friend. 과학적 이론과 객관성. 내가 "그것은 과학적 이고 합리적인 결론"이라고 한 것에 대해 넌 "과학적 이론도 이데올로기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라고 했다. 이 글을 통해 나는 "과학적 이론에 이데올로기적 편향을 따지면 안된다"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쉽게 얘기해서 학자들의 손에 넣을 수 있는 자료가 그 수합 및 취사선택의 단계에서 어떤 이데올로기적 기준에 의해 선정된 것이라면? 그렇다면 '자료 이후'의 단계에서 아무리 객관성을 유지한다고 해도 학자의 연구는 객관적 사실을 밝히지 못한다. 사회과학적 연구에서 객관성이 의심될 수 있는 또 다른 원천은 데이터가 가...
musoi.blogspot.com
Thoughts: January 2009
http://musoi.blogspot.com/2009_01_01_archive.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Friday, January 30, 2009. Not gonna talk about something like ppt slides or hand-on facilities about math. No. It's about your ability to visualize mathematical definitions and theorems. You need to be able to visualize the concepts in order truely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The starting point? I don't know. Perhaps vectors? I'd say sets. Remember Venn Diagrams? Circles, exactly. That's simple, isn't it? 경제학에서의 예측과 공학에서의 예측. 점심을 먹으며 동...
musoi.blogspot.com
Thoughts: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http://musoi.blogspot.com/2010/03/skepticalleftcom_7780.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tb.php/01 main square/23006. 제목: 필요에 따라 일하고 기여도에 따라분배받는 사회. 공산주의 사회의 정신이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라면 자본주의 사회의 모토는, 비록 공식적으로 선언된 바는 없지만, '필요에 따라 일하고 기여도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경제학에서 개인은 노동을 통해 소득을 얻은 후 그 소득의 일부를 소비하여 만족을 얻는 주체라고 가정됩니다. 따라서 개인이 노동을 하는 이유는 소비를 통해 만족을 얻기 위한 필요때문인 것이지요. 개인이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은, 이론적으로는, 개인의 노동이 생산에 기여한 부분입니다. 가격매카니즘이 갖는 이점은 ...
musoi.blogspot.com
Thoughts: March 2010
http://musoi.blogspot.com/2010_03_01_archive.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쓴 글 (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tb.php/01 main square/22304. 제목: To my friend. 과학적 이론과 객관성. 내가 "그것은 과학적 이고 합리적인 결론"이라고 한 것에 대해 넌 "과학적 이론도 이데올로기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라고 했다. 이 글을 통해 나는 "과학적 이론에 이데올로기적 편향을 따지면 안된다"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쉽게 얘기해서 학자들의 손에 넣을 수 있는 자료가 그 수합 및 취사선택의 단계에서 어떤 이데올로기적 기준에 의해 선정된 것이라면? 그렇다면 '자료 이후'의 단계에서 아무리 객관성을 유지한다고 해도 학자의 연구는 객관적 사실을 밝히지 못한다. 사회과학적 연구에서 객관성이 의심될 수 있는 또 다른 원천은 데이터가 가...
musoi.blogspot.com
Thoughts: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보관)
http://musoi.blogspot.com/2010/03/skepticalleftcom.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board.php? Bo table=01 main square&wr id=57761. 제목: 생뚱맞은 계량경제학 이야기. 한동안의 진흙탕 싸움(은 제가 안 들어오던 기간 중에 일어났더군요)에 이어 발생한 강퇴와 자퇴러시(부터 실시간 관찰을 했더랬습니다)에 대해 꽤 많은 분들이 5공때의 민주열사의 심정으로 또는 한일합방을 보는 우국지사의 심정으로 보고 계시는 모양입니다. 하지만 개중에는 저처럼 그냥 헛헛한 웃음만 짓고 있는 분들도 있겠지요. 그런 분들을 위해 그냥 생뚱맞은 계량경제학 글 하나 씁니다. 지난 학기에 학부생들에게 강의하다 한 얘기입니다. 분위기를 보아 하니 아닌 듯도 싶은데. 그렇지요? 최소절대편차법으로 추정된 a와 b를 ...
musoi.blogspot.com
Thoughts: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http://musoi.blogspot.com/2010/03/skepticalleftcom_9692.html
Words I like: Reason, logic, objectivity, facts, scientific. Sunday, March 28, 2010. Skepticalleft.com에 올린 글 (보관). 주소: http:/ www.skepticalleft.com/bbs/tb.php/01 main square/23143. 한 미국 초등학교의 이야기. 제 딸은 미국에서 초등학교 4학년에 다니고 있습니다. 남부의, 공립학교 교육이 개판이라고 소문난 주 중의 하나에 있는 한 소도시에서 공립학교를 다니고 있지요. '개판'이라고는 해도 사람 살이가 어디나 그렇듯이 여기 교육이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고 그렇습니다.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쓰려고 하는 것은 아니니 구체적인 논의는 생략하고 제가 인상깊었던 점 하나만 쓰려고 합니다. 쇠고기 반대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에 관련해서요. 토론이라고는 하지만 고작 초등학교 4학년짜리 애들이 무슨 토론을 하겠습니까? 무엇보다 학생들이 제대로 토론하는 능력이 없어서 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