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exts.blogspot.com
中國 & 古典: October 1995
http://ctexts.blogspot.com/1995_10_01_archive.html
左氏傳 (좌씨전) 左丘明 (좌구명) 007 宣公 (선공). 元年,春,王正月,公即位。公子遂如齊逆女,三月,遂以夫人婦姜至自齊。 左氏傳 (좌씨전) 左丘明 (좌구명). 좌씨춘추(左氏春秋), 좌전(左傳), 左, 春秋傳. 중국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노(魯)나라 左丘明(좌구명). Subscribe to: Posts (Atom). 左氏傳 (좌씨전) 左丘明 (좌구명) 007 宣公 (선공). 左氏傳 (좌씨전) 左丘明 (좌구명).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The Art of War. Simple template. Powered by Blogger.
chichina1.blogspot.com
中國 & China: August 2014
http://chichina1.blogspot.com/2014_08_01_archive.html
Learning, Chinese Proverb. 不聞不若聞之,聞之不若見之,見之不若知之,知之不若行之;學至於行之而止矣。 Simplified: 不闻不若闻之,闻之不若见之,见之不若知之,知之不若行之;学至于行之而止矣。 不 bù 聞 wén 不 bù 若 ruò 聞 wén 之 zhī 聞 wén 之 zhī 不 bù 若 ruò 見 jiàn 之 zhī 見 jiàn 之 zhī 不 bù 若 ruò 知 zhī 之 zhī 知 zhī 之 zhī 不 bù 若 ruò 行 xíng 之 zhī 學 xué 至 zhì 於 yú 行 xíng 之 zhī 而 ér 止 zhǐ 矣 yǐ. Common: I hear and I forget; I see and I remember; I do and I understand. Moral: You can only understand something by trying it yourself. From Xun Zi (荀子 8.儒效 23). Advice, Chinese Proverb. Book of Han (漢書).
chichina1.blogspot.com
中國 & China: September 2014
http://chichina1.blogspot.com/2014_09_01_archive.html
Reading, Chinese Proverb. 读 dú 书 shū 须 xū 用 yòng 意 yì 一 yī 字 zì 值 zhí 千 qiān 金 jīn. Intention of required study, the word worth a thousand gold. Meaning: When reading, don’t let a single word escape your attention; one word may be worth a thousand pieces of gold. This proverb stresses the fact that study requires undivided attention. And if there is something you don't understand, interrupt yourself. Only in this way can study be rewarded. Advice, Chinese Proverb. Subscribe to: Posts (Atom).
ctexts.blogspot.com
中國 & 古典: Reading, Chinese Proverb
http://ctexts.blogspot.com/2014/09/reading-chinese-proverb.html
Reading, Chinese Proverb. 读 dú 书 shū 须 xū 用 yòng 意 yì 一 yī 字 zì 值 zhí 千 qiān 金 jīn. Intention of required study, the word worth a thousand gold. Meaning: When reading, don’t let a single word escape your attention; one word may be worth a thousand pieces of gold. This proverb stresses the fact that study requires undivided attention. And if there is something you don't understand, interrupt yourself. Only in this way can study be rewarded. 책을 읽고 그 뜻을 가다듬으면, 한 글자가 천냥의 가치가 있다. [讀書鬚用意 一字值千金(독서수용의 일자치천금)].
ctexts.blogspot.com
中國 & 古典: February 1998
http://ctexts.blogspot.com/1998_02_01_archive.html
중국 명말(明末)의 환초도인(還初道人) 홍자성(洪自誠)의 어록(語錄). 2권 전집(前集) 222조는 주로 벼슬한 다음, 사람들과 사귀고 직무를 처리하며 임기응변하는 사관보신(仕官保身)의 길을 말하며, 후집(後集) 134조는 주로 은퇴 후에 산림에 한거(閑居)하는 즐거움을 말하였다. 합계 356조는 모두 단문이지만, 대구(對句)를 많이 쓴 간결한 미문이다. 사상적으로는 유교가 중심이며, 불교와 도교도 가미되었다. 이 책은 요컨대 동양적 인간학을 말한 것이며, 제목인 '채근'은 송(宋)나라 왕신민(汪信民)의 《소학(小學)》 인상능교채근즉백사가성(人常能咬菜根卽百事可成)에서 따온 것이다. 제사(題詞)에도 이 저자가 청렴한 생활을 하면서 인격수련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인생의 온갖 고생을 맛본 체험에서 우러난 주옥 같은 지언(至言)이라고 적혀 있다. Subscribe to: Posts (Atom).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The Art of War.
ctexts.blogspot.com
中國 & 古典: May 1995
http://ctexts.blogspot.com/1995_05_01_archive.html
戰國策 (전국책) 卷30 燕策二. 1 秦召燕王: 秦召燕王,燕王欲往。蘇代約燕王曰:“楚得枳二國亡,齊得宋而國亡,齊、楚不得以有枳、宋事秦者,何也?是則有功者,秦之深讎也。秦取天下,非行義也,暴也。 戰國策 (전국책) 卷17 楚策四. 或謂楚王曰:「臣聞從者欲合天下以朝大王,臣願大王聽之也。夫因詘為信,舊患有成,勇者義之。 戰國策 (전국책) 卷12 齊策五. 蘇秦說齊閔王曰:「臣聞用兵而喜先天下者憂,約結而喜主怨者孤。夫後起者藉也,而遠怨者時也。 戰國策 (전국책, Zhànguócè). 중국(中國) 전한(前漢) 시대(時代)의 유향(劉向)이 전국(戰國) 시대(時代) 12개국(個國)에서 유세객(遊說客)들이 세운 지략(智略)을 모아 엮어 편찬(編纂)한 33권의 책(冊). 貞觀政要 (정관정요) 吳兢 (오긍). 중국 당나라의 오긍(吳兢)이 지은 책. 태종이 가까운 신하들과 정관 시대에 행한 정치상의 득실에 관하여 문답한 말을 모아 엮었다. 10권. 만번의 죽을 고비에서 살아난다는 말로,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고 겨우 죽음을 모면한다는 뜻.
maguchina.blogspot.com
中國: July 2015
http://maguchina.blogspot.com/2015_07_01_archive.html
중국 南宋때 (bc 1200년경) 晦庵 朱熹선생이 열 가지 모든 일에는 항상 때가 있고, 때를 놓치면 뉘우쳐도 소용없음을 강조한 말이다.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 돌아가시고 나면 후회해도 이미 늦으니, 살아 계실때 효도해야 한다는 말이다.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 고사성어 풍수지탄(風樹之歎). 가족에게 친하게 대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가까이 있을 때 가족에게 잘해야지, 멀어진 뒤에는 소용이 없다는 뜻이다. 젊어서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젊음은 오래 가지 않고 배우기는 어려우니, 젊을 때 부지런히 배워야 한다는 " 소년이로학난성(少年易老學難成). 편안할 때 어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면 실패한 뒤에 뉘우친다. 편안할 때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거안사위(居安思危). 재산이 풍족할 때 아껴쓰지 않으면 가난해진 뒤에 뉘우친다. 쓰기는 쉽고 모으기는 어려우니, 근검절약해야 한다는 말이다. 로 한 번 올렸던 내용입니다.
magupeople.blogspot.com
中國 & 人物: 黃宗羲 (황종희, 1610~1695)
http://magupeople.blogspot.com/2010/10/16101695.html
黃宗羲 (황종희, 1610 1695). 황종희(黃宗羲, 1610 1695). 중국 명말·청초의 사상가. 박람(博覽)과 실증(實證)을 존중하고, 청나라 학문에 커다란 영향을 남겼다. 명대의 철학사(哲學史)라고 할 《명유학안(明儒學案)》, 군주 독재제도를 통렬히 비판한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은 명저(名著)로 알려졌다. 그의 학문은 박람(博覽)과 실증(實證)을 존중하고, 청나라 학문에 커다란 영향을 남겼는데, 명대(明代)의 철학사(哲學史)라고 할 《명유학안(明儒學案)》, 군주 독재제도를 통렬히 비판한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은 명저(名著)로 알려졌다. 특히 《명이대방록》은 청말(淸末) 혁명사상의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黃宗羲 (황종희, 1610 1695). 黃庭堅 (황정견, 1045 1105). Seikadō Bunko Art Museum. Simple template. Powered by Blogger.
magupeople.blogspot.com
中國 & 人物: October 1995
http://magupeople.blogspot.com/1995_10_01_archive.html
左丘明 (좌구명, Zuǒ Qiūmíng). 異名: 左丘明(Zuǒ Qiūmíng), 맹좌(盲左). 중국 춘추시대의 노(魯)나라 학자. 《좌씨전(左氏傳)》, 《국어(國語)》의 저자로 일컬어진다. ‘좌구실명(左丘失明)’이라는 사마천(司馬遷)의 말에 의하여 후세 사람은 그를 가리켜 맹좌(盲左)라고도 한다. Location: Shandong, China. Subscribe to: Posts (Atom). 左丘明 (좌구명, Zuǒ Qiūmíng). Seikadō Bunko Art Museum. Simple template. Powered by Blogger.
magupeople.blogspot.com
中國 & 人物: September 1995
http://magupeople.blogspot.com/1995_09_01_archive.html
曹操 (Cáo Cāo, 155 220). 曹操; 155 – 220 March 15). 182; 寧我負人,毋人負我! Translation: "I'd rather betray others, than have others betray me.". Statement in 190, after falsely killing Lü Boshe. Source: Sun Sheng Zaji, page 5 of Sanguo Zhi. Http:/ en.wikipedia.org/wiki/Cao Cao. 曹操 (조조, Cáo Cāo, 155 220). 曹操(조조, 155 220). 異名: Cáo Cāo, 자 맹덕, 묘호 태조, 시호 무황제. 국적: 중국 삼국시대 위. 활동분야: 군사, 정치. 曹植 (조식, Cáo Zhí, 192 232). 조식 (曹植, 192 232). 異名: 曹植(Cáo Zhí), 자 자건(子建), 시호 사(思), 진사왕(陳思王). 국적: 중국 삼국시대 위(魏). 한 성제 [成帝, BC 52 BC 7].